2024.05.05 ~ 2024.07.31
31가지 핵심 키워드로 배우는 필수 경제상식
31 가지
- 금리
- 물가
- GDP
- 환율
- 최저임금
- 국민대차대조표
- 조세부담률
- 국민연금
- 가계부채
- 실업률
- 취업자 수
- 출산율
- 인구와 경제 성장
- 은산분리
- 파레토 vs 롱테일
- 팩트풀니스
- 경제가 성장하면 더 행복해질까?
- 경기선행지수
- 채권
- 법인세
- 보호무역주의
- 셰일오일
- 아메바경영-1
- 아메바경영-2
- 정관정요
- 대통령의 스피치
- 역사에서 배워라
- 디지털세
- IT기업의 수입원
- 유니콘 기업
- 구글의 아리스토텔레스
1. 금리
- 기준 금리 조절로 통화량을 결정한다.
- 경기 침체 → 기준금리 ▼ → 개인소비/기업투자 ▲
- 경기 과열 → 기준금리 ▲ → 개인소비/기업투자 ▼
- 물가상승의 주된 원인은 통화 공급의 증가이다.
- 유통되는 통화의 양을 줄이기 위해 기준금리를 높여 은행에 저축을 하게 만듦.
Fed(Federal Reserve System) 미국 연방준비제도(중앙은행)
- 1년에 8번 회의, 12명 참여 (한국은행은 7명 참여)
- 2008~2015 제로금리(서브프라임모기지 때문)
- 2018년 금리역전 현상: 미국금리 > 한국금리
- 돈은 금리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이동 (금리가 높은 곳으로 투자 이동)
- 외국인 투자금 하락: 자본 유출 → 원화가치 급락 부작용
- But, 기준금리 인상 시 → 이자비용 인상
2. 물가
물가지수는 생산자, 도매, 소비자, 생활/신선 물가지수가 있다.
- 소비자 물가지수 : 물가 측정을 위한 460개의 대표품목(상품, 서비스)을 5년 마다 변경한다.
쇠락기의 국가들 특징 → 물가가 급등함
- 로마제국 말기
- 1차 세계대전 전후의 독일(이후 나치)
- 베네수엘라(원유가격 급락이 주요 원인, 높은 복지 정책을 수정하지 않은 것도 원인 중 하나)
물가상승과 물가하락
- 물가 상승: 돈의 가치 하락, 부와 소득의 분배 불평등(대부분 근로자들의 실질소득 하락, 부동산 가격 증가)
- - 경제 안에서 소비가 늘고 저축이 줄어든다. 시간이 지날수록 돈의 가치가 줄어들어 은행에 맡기기보다 당장 소비하는게 경제적으로 더 이익이다. 저축액 감소 때문에 기업이 은행을 통해 자금 조달하기 어려워진다. 이는 경제 성장 둔활 이어진다. (소비가 감소할까?)
- 물가 하락: 돈의 가치 상승
- - 계속 물가가 떨어지기 때문에 더 낮은 금액으로 사기 위해 소비를 보류한다. 때문에 소비가 줄어든다...? 부동산의 가격이 떨어질 수 있지만 표시된 부채의 금액은 그대로이기 때문에 빚의 액수가 올라갔다고 볼 수 있다.
3. GDP
GDP(Gross Domestic Product) 국내총생산 (경제활동지표)
: 일정 기간 동안의 한 나라 영역안에서 모든 경제 주체가 생산 활동에 참여해 만들어낸 재화 및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시장가격으로 더한 값(시장가격으로 평가한 최종 생산물의 가격을 더한 값)
- ex) 손흥민의 연봉은 한국이 아닌 영국GDP로 계산된다.
- 부가가치 = 고로케 판매값 - 원자재 값(비용) => 중복계산 방지
명목 GDP: 물가상승으로 인한 가격상승을 그대로 반영
실질 GDP: 물가상승으로 인한 가격상승을 배제
매출과 GDP는 같지 않다
- 매출에는 원재료, 부품 가격이 중복 포함되었다.
- 매출에 해외 공장에서 생산한 제품의 판매액이 포함되어있다. (국내생산, 해외 수출은 GDP에 포함된다)
4. 환율
2018. 4. 13. 미국재무부는 한중일, 독일, 인도, 스위스 등 13개국의 환율정책을 평가한 <환율보고서> (2016년부터 매년 4, 10월에 나오는 정기보고서) 작성
- 타국의 환율이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
- 환율을 조정해 미국 수출을 늘리고, 자국으로 수입되는 미국제품을 줄이는 나라에 경고를 주기 위함
- '환율조작국'으로 지정해 불이익을 줌으로 전세계로 수출되는 미국 제품을 늘리려는 의도
- 발단: 2017년 미국은 타국가와의 무역에서 우리나라돈 500조원에 달하는 적자를 기록
- 미국 내에서 수입을 줄이고 수출을 늘리자는 의견
-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: 수입제품에 높은 관세(관세장벽↑), 주변 교역국의 환율 정책에 개입강화
- 2019. 8. 5.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
환율조작국 지정 조건 (2가지 요건 충족시 '관찰대상국' 지정)
- 대미 무역 흑자 200억 달러 초과
- 연간 경상 흑자 GDP의 3% 초과
- 연간 달러 순매수가 GDP대비 2%초과 or 12개월 중 8개월 이상 달러 순매수
명목환율 (그외 실질/실효 환율 있음)
- '달러 당 1,200원' 같이 '원달러' 비율로 표현
- 환율은 다른나라 돈을 살 때의 '돈의 가격' 이다.
- 수요(구매) ↑ 가격 ↑ , 공급(판매) ↑ 가격 ↓
- 각 나라의 화폐는 수요·공급의 원리로 가격이 결정 (환율이 결정되는 기본원리)
- 한국제품 수출이 증가하면, 한국 돈인 원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다.
- 수출은 환율에 영향을 준다
원화 가치와 환율의 관계
- $1 = \1,000 => \800 (원화가치 20% 상승, 환율 20% 감소)
- IMF 1997년 연초 840원대 => 연말 1,964원 (한국 돈의 가치가 절반 이하로 하락)
- 한국 경제가 심각하게 위기일 때 돈의 가치가 하락한다.
환율은 수출에 영향을 준다. ex) 떡볶이 \1,000 수출
- 기본 \1,000 : $1 => 1 달러 필요
- 원화↑ \500 : $1 => 2 달러 필요 (수출감소, 환율감소로 생산비용(원자재가격)이 줄어들어 수입이 증가)
- 원화↓ \1,500 : $1 => 0.6 달러 필요 (수출증가, 환율상승으로 원자재 가격이 높아 수입이 감소)
5. 최저임금
최저임금 인상 목적 => 저소득층 소득 증가
- 현실: 인건비 증가로 일자리 감소, 고졸 등 상대적 저학력 계층 취업자 감소
최저임금위원회 : 27명 구성
- 공익위원 9명 (정부임명)
- 사용자위원 9명 (대한상공회의소, 한국경영자 총회 추천)
- 근로자위원 9명 (노동조합, 노동계 추천)
경제성장 둔화로 최저임금을 적용받는 노동자 수가 증가
- 따라서, 최저임금 인상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(부담) ↑
- 경제성장 속도가 빨랐던 1980~90년 대: 저임금 노동자의 명목임금 상승률이 최저임금 상승률보다 대체로 높았다.
- 최저임금 적용 근로자 비율 => 2003년 6.4%, 2010년 15.9%, 2018년 23.6% (전체 노동자의 1/4)
2018. 5. 28. 최저임금법 개정
- 기존에는 최저임금에 상여금, 성과급이 포함 안됨 => 최저임금 인상시 고액 연봉자의 급여가 인상됨
- 최저임금에 정기 상여금, 복리후생비 일부를 포함 시킴
최저임금의 역설(반대) vs 한계 소비 성향(찬성)
- 인건비 부담으로 소규모 자영업자/중소기업 폐업, 고용축소로 일자리 감소 및 소득 감소 발생
- 소득 증가 대비 소비 증가가 큰 저소득층의 소득을 올려야 경제 전반에 선순환된다.
6. 국민대차대조표
- 실물자산(부동산가격) + 금융자산(현금, 주식 등) - 금융부채 = 재산
- 국부: 나라가 지닌 경제력
국민대차대조표에선 경제 활동에 참여하는 주체를 4개로 분류
- 비금융법인(일반 기업)
- 금융법인(은행, 증권사)
- 일반 정부(중앙정부, 지방정부, 산하기관)
- 가계 및 비영리 단체
2017년 전년대비 국부(국민순자산) 5.7% 증가 => 부동산 가격 상승이 원인 (실거래가 X)
- 한국 가계는 평균 전재산의 3/4이 부동산
- 전세보증금을 금융자산으로 분류, 하지만 실물자산에 가까운 성격
- 전세보증금을 실물자산으로 하면, 전재산 중 부동산의 비중 ↑
- 한국인의 금융자산은 사실상 제로에 가까움
7. 조세부담률
조세부담률: 1년 동안 국민·기업이 납부한 세금 ÷ 명목GDP (한나라의 국민들이 얼마만큼의 세금을 부담하는가)
국민부담률: (1년 간의 국세/지방세 + 4대보험료 + 사회보장기금) ÷ 명목GDP
근로소득 면세가 문제 => 세액공제를 통해 근로자 중 40%가 면세 => 면세 비율이 지나치게 높음
8. 국민연금
- 국민들의 안정적인 노후생활보장을 위해 1988년 도입, 거의 모든 국민이 의무적으로 가입
국민연금 고갈 2050년대 후반 예상
- 저출산 고령화
- 경제 성장률 3% 내외로 성장 둔화
국민연금 고갈 연기/지연 방법 (해결책은 안됨)
- 보험료율 인상 => 실패: 여론의 반발
- 국민연금 운용수익률 높이기 => 수익률이 1%만 떨어져도 고갈시기가 5년 이상 앞당겨질 수 있음
9. 가계부채
가계부채
- 2013년 : 1천조 원
- 2018년 : 1천500조 원
- 5년 동안 가계부채 500조 원 증가
- 금융기관 1,414조 원 & 카드 대금/할부금 86조
가계부채 증가속도 = 부채증가율 - 소득증가율
- 2009~2016 연평균 가계부채 증가속도 => 한국 3.1%, OECD 29개국 0.4%
- 소득증가속도 보다 빚 증가속도가 더 빠른 상황이 몇년째 지속 중
- 미국 기준 금리가 올라가면 한국도 금리를 올려야 함
- => 미국 금리보다 금리가 많이 낮으면 자본 유출로 인해 원화가치가 급격히 하락하기 때문
- 기준 금리 인상은 대출 금리 인상(이자비용증가)으로 이어짐
대출금리 인상은 '취약차주'들이 빚을 갚기 어렵게 만든다
- 취약차주 : 3곳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하위 30%의 저소득자 or 신용등급 7~10 등급 사이의 저신용자
- 이들이 빌린 돈 65.5%가 비은행 금융기관 대출 => 더 높은 이자로 돈을 빌림
가계부채 40%는 집담보로 빌린돈 => 부동산 문제와 밀접한 관련
빛이 과다하면 불황에 접어든 경제를 살리기 어렵다.
10. 실업률
실업자가 되기위한 조건(국제노동기구 ILO의 조건에 따름)
- 지난 일주일 동안 일 X
- 일이 주어지면 할 수 있음
- 4주간 적극적 구직활동
- but, 취준생들은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됨 + 공무원 시험 응시생
2018년 5월 집계된 공식 실업자 수 112만 1천 명
-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준비자 수 68만 명
취업자가 되기위한 조건
- 주 5일 정기적 근무 가 조건이 아님
- 주 1시간 이상 근무 하면 취업자 (알바가 포함됨)
- 이것이 현실과 통계의 불일치 지점 중 하나
11. 취업자수
12. 출산율
합계출산율
- 출산이 가능하다 여겨지는 15~49세 사이의 모든 여성을 기준으로 각 연령대에 속한 1명의 여성이 평생 동안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자녀의 수
- ex) 특정 연령대(15~49세 사이에서 30세) 여성이 낳은 신생아 수 ÷ 30세 여성의 수 => 각 나이별 수치를 모두 더함
- 기혼 / 미혼 구분이 없고, 청소년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현실과 괴리가 있는 통계
유배우(배우자가 있는) 합계출산율 => 2.23명
- 저출산은 낮은 출산율이 아닌 낮은 혼인율이 원인이라는 주장
- 혼인한 부부들은 이미 충분한 자녀를 낳아서 양육하고 있음
저출산 대책의 무게중심을 옮겨야 함
- 결혼한 부부들이 아이낳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=> 젊은 사람들이 결혼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
- 배우자가 있는 15~49세 여성의 비율 변화: 2000년: 70.4% => 2016년: 51%
13. 인구와 경제 성장
고령화 : 인구감소로 인한 경제에 부정적 영향
- 소비자 감소
- 고용인력 부족
- 공공인력(공무원, 경찰관, 소방관, 군인 등) 부족
- 지방소명: 젊은 층 수도 이동 등 농어촌 지역 인구감소로 지방자치단체 소멸
2017년 한국 '생산 가능 인구' 첫 감소
- 15~64세 사이 일을 하며 경제활동이 가능한 인구
- 현제 일본의 인구 감소가 심각하지만, 한국은 머지않은 미래에 그런 일본조차 부러워할지도 모른다
인구감소에도 경제는 충분히 성장 가능 - '요시카와 히로시 교수'
- 노동자 1명당 노동 생산성 향상이 중요 & 기술 혁신
- => 이에 대한 반론은 다양하다
14. 은산분리
- 인터넷 전문은행 : 케이뱅크, 카카오뱅크
은산분리 규제
- 금융회사가 아닌 일반기업(산업자본)이 은행 경영에 참여하는 것을 막는 규제
- (=금산분리): 금융과 산업자본을 분리
- 일반기업이 보유할 수 있는 은행 지분을 제한 => 시중은행 10% 지분 최대, 의결권 지분은 최대 4% 인정
- 기업이 돈이 필요할 때 예금자들이 저축한 돈을 자기 돈처럼 끌어와 사용할 수 있단 우려로 1982년 도입
의결권 기준
- 시중은행 4%
- 지방은행 15%
- 저축은행 100%
인터넷 전문은행 출범으로 규제 완화 요구
- Fintech(Finance + Technology) 핀테크 산업의 발전을 위해 인터넷 전문은행 출범을 허가함
- 편리한 금융서비스 이용(금융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임)
- 시중 은행에 비해 낮은 대출금리 => 오프라인 지점을 운영 안하므로 임차료, 인건비 절약
- 빅데이터 활용으로 보다 정확한 신용등급 산정
- 기존 은행이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상품/서비스 개선 유도
- 2018.9월 은산분리 규제완화 특례법 통과 => 총수가 아니면 은행의 34% 지분 보유 가능
But,
- 인터넷 전문기업이 금융권에 미친 영향은 '찻잔 속 태풍'이라는 평가
- 기존은행의 영업방식을 그대로 따라한 부분이 크기 때문
To Be Continue...
'BOO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홍선표 기자의 써먹는 경제상식-2 (15~31) (3) | 2024.08.14 |
---|---|
선물 (The Present) (0) | 2024.07.17 |
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? (0) | 2024.07.15 |